잡스처럼 일한 다는 것/린더 카니 지음, 안지환-박아람 옮김/북섬
2010년 1월 26일 오후 10시 34분
“그런 제품들은 더 이상 신비롭지 않았어요. 제품은 마법의 세계에 속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창조력이 낳은 산물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하게 된 것이지요.”
“나는 튼튼한 기초를 토대로 모든 것을 개조하고 싶습니다. 기꺼이 벽을 허물고 다리를 놓으며 불을 지필 것입니다. 내게는 많은 경험과 에너지, 그리고 약간의 비전이 있기에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 두렵지 않습니다.”
“문제는 제품입니다. 엿 같은 제품! 더 이상 매력 적이지 않다는 게 문제라고요!”
“맥을 선택하기 위해 포스터가 필요하다면 분명 무언가가 잘 못된 것이지요.”
‘필기할 필요는 없어요. 중요한 거라면 저절로 기억이 날 테니까’ 라고 말했지요
“도표에 따르면, 애플의 매출액은 120억 달러에서 100억 달러로, 그리고 다시 70억 달러로 급격히 하락했다. 잡스는 애플이 120억 달러나 100억 달러 이상의 매출을 올리고도 이익을 남기지 못할 수 있으며, 반면 60억 달러의 매출로도 수익을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잡스는 대단한 능력을 가진 사람입니다. 자질구레한 조건을 내세우지도 않았고 큰 그림을 볼 줄 알았으며, 자신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고 있었어요.
“Think Different”
애플은 최저가의 컴퓨터로 델과 경쟁하기보다는 최고급 제품을 생산하여 어느 정도의 수익을 올린 다음, 그 수익으로 계속해서 최고급 제품들을 개발할 생각이었다. 판매량이 많아지면 가격도 낮출 수 있을 게 분명했다.
하지만 나는 삶이 저절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이성을 토대로 돌아간다고 믿습니다.
“지속적으로 실패의 위협을 감수하는 사람만이 진정한 아티스트입니다. 밥 딜런은 언제나 실패의 위험을 감수 했습니다.”
“조직은 이해하기가 분명하고 간단하며, 매우 설명이 가능합니다. 모든 것은 더 간단해져야 합니다. 초점과 단순성, 그게 바로 내가 꾸준히 생각해온 주문입니다.”
“초점을 맞추는 것은 거부 할 줄 아는 것을 의미한다.”
잡스가 잘 하는 일
신제품 개발, 제품 프레젠테이션, 매매 협정
잡스가 잘하지 못하는 일
영화감독, …
“애플의 핵심은 기업이 아닌 사람들을 위한 컴퓨터를 만드는 것입니다. 세상이 필요로 하는 것은 또 하나의 델이나 컴팩이 아닙니다.”
“그러나 애플이 추구하는 목표는 최대 판매량이 아니라 최대 수익성을 지닌 시장 부문이다.”
“”killer app”
오즈본 효과-개발 단계에 있는 신기술을 발표함으로 회사를 자멸로 이끄는 것
“잡스는 극도로 고객 중심적이다.”
애플의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단순화이다. 애플 제품의 다순성은 고객들의 선택권을 빼앗을 데에서 비롯된다.
“스티브는 언제나 무언가를 하겠다는 결정보다는 무언가를 하지 않겠다는 결정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지요. 스티브의 방식이 차별성을 구축 할 수 있었던 것도 그 점 때문이었습니다.”
환불 요청이 들어온 제품의 절반가량은 결함 때문이 아니라 구입자가 사용법을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사용자 중심의 혁신을 이끄는 주요 요소는 피드백과 ‘포커스 그룹’(한자리에 모여 특정 제품이나 쟁점에 대해 기탄없이 의견을 말하는 사용자 그룹의 표본 집단)이다.
기술 혁신에 사용자 그룹이 적합하지 않다 - 패트릭 휘트니
사람들은 눈앞에 보여주기 전까지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기 때문입니다.
“스티븐 잡스는 시장조사를 하지 않습니다. 자신의 우뇌가 좌뇌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 그것을 시장조사라고 생각하지요.”
잡스에게 디자인은 제품의 작동 방식이다.
단순성은 복잡성이 해결된 상태이다.
“지금은 너무도 단순하고 명확해 보이겠지만 종종 그 정도의 단순성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을 몇 번씩 수정해야 합니다. 사람들이 어떤 문제를 겪을지, 어떤 어려움을 겪을지 이해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에너지를 투자해야 하지요. 이러한 문제들을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조차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태반이기 때문입니다.”
“주변 제품들을 둘러보면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음을 입증하는 증거물처럼 보입니다. 슬프고 답답한 현실이 아닐 수 없지요. 이런 점에서 보면 제품이라는 것은 참 재미있습니다. 제품은 그것을 생산한 기업, 그리고 그 기업의 가치와 우선순위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들려주기 때문이지요.”
우리는 잘못을 저질러도 기뻐합니다. 잘못을 저질렀다는 것은 새로운 것을 발견했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입니다.
잡스의 전략은 가능한 한 가장 똑똑한 프로그래머와 엔지니어와 디자이너를 고용하는 것이다.
훌륭한 디자이너는 형편없는 디자이너보다 100배에서 200배 더 뛰어나며, 프로그래밍 분야에서도 훌륭한 프로그래머와 평범한 프로그래머를 여러 등급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잡스는 믿는다.
더 이상 혼자가 아니다. - 픽사 대학 건물에 새겨져 있는 글
“애플은 히트작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회사입니다. 하나가 들어가면 또 다른 히트작이 나오지요.”
“스티브는 무조건 윗사람의 말에 동조하는 사람을 좋아하지 않습니다. 그는 자신이 아는 바에 대해 매우 자신만만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누군가가 이의를 제기해주길 바라지요.”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할 만큼 미친 사람들이 바로 세상을 바꾸는 주역입니다.
“세상 사람들 모두가 제각기 전용 애플 컴퓨터를 한 대씩 갖게 하는 것이 나의 꿈입니다.”
“그러나 애플은 과거나 지금이 마케팅을 핵심 전략으로 간주한다.”
진정한 만족을 누리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이 대단하다고 믿는 일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단한 일을 하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이 하는 일을 사랑하는 것이다.
-2005 스탠포드 대학교 졸업식 축사
아주 작은 활등으로나마 우리는 세상을 좀더 살기 좋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 일에 대해 열정이 충만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을 것입니다. 포기할 거라는 말입니다. 누구에게든 열정을 지닌 아이디어나 문제, 혹은 바로잡고자 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합니다.”
“사람들은 사랑이 아닌 두려움에 반응한다. 주일 학교 에서는 가르쳐주지는 않지마, 그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위대한 협박자들은 동시에 위대한 아첨가가 될 수도 있다.”
비즈니스 역사상 가장 성공한 기업은 제품 혁신을 꾀하는 기업이 아니라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는 기업이었다.
그러나 프로세스는 혁신의 본질이 아닙니다. 단지 효율성을 높여주는 수단일 뿐입니다.
“혁신은 복도에 모여 있는 사람들, 혹은 새로운 아이디어가 떠오르거나 어떤 문제에 대해 기존의 해결책을 능가하는 무언가를 깨닫고 밤 10시 30분에 서로 전화를 거는 사람들에게서 나오는 것입니다. 누군가가 가장 멋지다고 생각되어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듣고 싶다면 몇몇 사람들을 모아 특별 회의를 소집할 수 있습니다. 혁신은 그런데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동기가 아주 커다란 차이를 만든다는 확신이 점점 강해집니다. 휴렛팩커드의 주요 목표는 훌륭한 제품을 만든다는 것이었습니댜. 우리의 주요 목표는 세계 최고의 PC를 만드는 것 입니다. 세계 최대의 기업이 되는 것도, 가장 부유한 회사가 되는 것도 아닙니다.
“훌륭한 예술가는 모방하고 위대한 예술가는 도용한다.”
“그들은 자신들이 정말 혁신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새로운 뭔가를 시도하는 것을 두려워합니다. 가장 큰 이유는 비난에 대한 걱정 때문이지요. 그들은 실수가 너무 두려워서 언제나 기존의 방법을 고수하는 것입니다.
“잡스는 당시 소비자들의 95%가 애플을 고려해보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대부분의 라이벌들은 하드웨어라라는 장치에 초점을 두지만, 사실 비법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그리고 서비스의 매끈한 혼합에 있다.
ONE POINT LESSON
- 우주에 강렬한 스크레치를 남기겠다는 열정을 닮자
- 기업 성장, 나의 일의 분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다. 높은 이익율과 중요한 일에 집중하여 높은 성과를 얻는 것이 중요하다.
- 훌륭한 디자이너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100배 이상의 차이가 난다. 나는 나의 업무 분야에서 이런 성과를 창출 할 수 있는가? 이런 가치를 창 출 해낼 수 있는가? 내가 하는 일은 상상하기 힘든 성과로 연결 될 수 있는 있다.
- 만약 서린을 생각지도 않는 사람 95%가 있다면 시장은 95%나 성장 할 수 있다는 것이다.
'Reading To lead > Busin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카네기 인간 관계론 (0) | 2013.01.11 |
---|---|
10. 초일류업무술 (0) | 2013.01.11 |
8.일본전산 이야기 (0) | 2013.01.11 |
7.먼데이 모닝 리더십 (0) | 2013.01.11 |
6. 마시멜로 이야기 (0) | 2013.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