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Reading To lead/Business

56.사회적 기업 만들기

사회적 기업 만들기/무하마드 유누스/물푸레

 

우리는 이 젊은이들에게 노동시장에 들어가서 일자리를 찾지 않기로 서약하게 한다. 그들은 일자리를 줄 사람이지 일자리를 찾을 사람이 아니다. 우리는 그들에게 이렇게 말한다. 당신의 어머니는 그라민은행이라는 큰 은행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라민은행은 당신이 설립하고 싶어하는 어떤 기업이라도 재원을 댈 수 있을 만큼 많은 자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왜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일자리를 찾는 데 시간을 낭비합니까? 종업원보다는 고용주가 되십시오.

 

가난은 우리가 만든 시스템, 우리가 만들어낸 제도, 그리고 우리가 만들어낸 개념에 의해 만들어진다.

 

자본주의의 가장 큰 결함은 인간 본성의 그릇 된 해석에 있다. 현재의 자본주의는 상업에 종사하는 인간을 이윤극대화가 유일한 사명인 일면적인 존재로 해석한다. 즉 인간을 경제적인 목표만을 추구하는 존재로 가정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기술을 다양하게 사용할수록 기술은 더욱 강력해진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기술을 사용한다고 해서 수익 창출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을 것이다. 오히려 더 높일 것이다.

 

사회적 기업의 7가지 원칙

1. 사회적 기업의 목표는 이윤을 극대화 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과 사회를 위협하는 (가난, 교육, 건강, 기술 접근, 환경 등과 관련된) 여러 많은 문제들을 극복하는 데 있다.

2. 사회적 기업은 재정적,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달성한다.

3. 사회적 기업의 투자자들은 투자원금만 회수한다. 투자원금의 회수를 넘는 어떤 배당금도 받지 않는다.

4. 사회적 기업의 투자원금은 회수 되어도 이윤은 확장과 개선을 위해 회사에 남겨둔다.

5. 사회적 기업은 환경문제에 특별한 관심을 갖는다.

6. 사회적 기업의 모든 근로자는 시장임금을 받고 표준 근로자보다 나은 대우를 받는다.

7. 즐겁게 일하라!

 

나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는 사람들에게 될 수 잇는 한 빨리 일을 시작하라고 강력하게 권유한다. 비록 단지 5명의 생활을 (가난에서 벗어나게 하고 집을 제공하고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게 함으로써)개선하는 일일지라도 그것을 시작할 가치가 있다.

 

사회적 기업을 시작하는 사람이라면 시장수요와 자산의 능력을 적절히 결합해서 가장 큰 수익을 내려고 하지 않는다. 처음 생각은 이와는 완전히 다른 곳, 즉 다른 사람을 불쌍히 여기는 인간 본능으로부터 나온다.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에 대해 보거나 듣고서 그것을 변화시킬 결심을 하게 되는 것이다.(이것은 타인의 고통에 대한 아주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그런 다음 해결책을 찾기 시작한다.

 

One Point Lesson

1. 10 년 후 세계 경제의 시스템은 지금과 같을까?

2. 자본주의가 그때까지 남아 있을까?

3. 과연 지속가능 한 경영은 무엇일까?